건축시공기술사 서술 서브노트 (PEB 시스템의 국내활용실태와 발전방향 / 초고층건축 공정에 영향주는 요인과 공정운영방식 / 커튼월 부재 접합부 누수원인과 방지대책 / 커튼월공사 부위별 ..

반응형

Ⅰ. 건축시공기술사 서술 서브노트 #1 : PEB 시스템 일반사항

    1) 개 요

      ① PEB(Pre-Engineering Building) 시스템이란 철골구조의 설계, 제작, 시공을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관되게 구축하는 시스템이다.

      ② 흔히, PEB 시스템은 변단면, 장스팬의 구조로 착각할 수 있지만 효율적인 철골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고려하고 발전시켜야 한다. 

    2) PEB시스템의 특징

PEB 시스템의 특징

       - 재료절감 : 컴퓨터 프로그램 이용 재료 절감

       - 공기단축 : 공장제작, 현장조립으로 70% 공기단축

       - 대공간 활용 : 최대 폭 120m 까지 장 스판 가능

       - 확장 용이성 : 건물 확장시 추가부재, 조립으로 확장

Ⅱ. PEB 시스템의 국내 활용실태

  1. 철골 시스템 

       - 동우화인텍공장 : 경간 90m, 철골구조

       - 삼성전자 베트남 현장 : 단일 스팬 78m

  2. Open Web 프레임

       - 서림목재 발안공장 : 평면 복잡할 경우 공간 확보

  3. Continuous Beam

       - 여주 이마트 물류창고 : 최대 240m 까지 내부 공간 활용 가능

Ⅲ. PEB 발전방향

    1) PEB 기술지침서의 제정

       - 현재 미국기준 이용으로 자체 지침서 부재

       - 제작, 생산, 설치 시공 과정의 지침 제공   * 명확한 품질관리 절차 규정

    2) PEB 부재 설계기준 제정

       - 국내 PEB 업계가 적용 가능한 국내 부재설계기준 제정 필요    * 기술지침, 부재설계기준의 부재의 피해사례

Ⅳ. 결 론

       - PEB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이고 대공간을 만들 수 있는 시스템이다. 

       - 기준선정과 안전조치가 최우선이 되어야 한다. 


Ⅰ. 건축시공기술사 서술 서브노트 #2 : 초고층건축공사 공정 영향요인, 공정운영방식 일반사항

    1) 개 요

      ① 초고층 건축물은 높이 200m, 50층 이상의 건축물을 총칭하며, 현대 건축의 대형화, 복잡화, 다양화에 의해 시공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② 공사 내, 외적으로 공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있고, 공정 운영방식에 따라 달라지기에, 이를 고려하여 시공해야 공기단축과 공사비 절감이 가능하다. 

    2) 초고층 건물의 특수성

       - 도심지에 건축 : 교통, 민원, 지하매설

       - 지하구조물 깊이 증가 : 지내력 확보, 기초보강

       - 수직동선 증가 : 상하작업 공정관리

       - 공사기간, 공사비 : 공기지연 대책 수립

       - 안전대책 강구 : 안전위주 시공계획

    3) 초고층 건물의 기준층 공정 F/C

       - 철골공사 -> 데크플레이트 -> 철근배근 -> 바닥콘크리트 타설 -> C/W 내화피복 -> 외벽마가, 내부벽체 -> 마감

Ⅱ. 초고층 공사의 공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환경적 요소

    1) 도심지 건축에 따른 고려요소 증대

       - 지하시설물, 인접건물, 교통체증으로 인한 민원 증대

    2) 환경오염 문제(건설공해)

       - 먼지, 분진에 의한 인접건물 인원 피해

       - 소음, 진동에 의한 민원 발생

  2. 시공적 요소

    1) 가설공사의 소요 증대

       - 가설구대의 확장

       - 지수층의 설치

       - 동절기 보양 증대

    2) 양중거리의 증대

       - 대형양중 : Tower crane, JIB crane, Truck crane

       - 중형양중 : Hoist, 화물전용 Lift

       - 소형양중 : 엘리베이터, 리프트

         * 현장조건 파악 -> 장비파악 -> 공종파악 -> 양중계획에 따라 시공속도 차이

    3) 고소작업에 의한 시공지연

       - 자재, 인원 이동시간 및 작업난이도 증대

       - 안전에 대한 조치

Ⅲ. 공정운영방식

    1) 병행시공방식(Linear Scheduling Method)

       - 선행작업이 하층 -> 상층 진행시 다음 작업을 하층-> 상층시공

       - 양중설비 증대

       - 작업동선 혼란

    2) 단별시공방식(Phased Sceduling Method)

       - 골조완료 후 후속공정 단을 나누어 실시

       - 작업관리 복잡

       - 가설동력 증대

    3) 연속시공방식(Line of Balance)

       - 기본공정 반복, 연속시공

       - 공법의 단순화

       - 시공의 기계화

    4) 고속궤도 방식(Fast Track)

       - 기존시공 : 기본설계 -> 본설계 -> 시공

       - Fast Track : 기본설계 -> 본설계(동시 시공)   * 공기단축

      ① 공기단축, 공사비 절감, 공사관리 용이

      ② 계약 조건에 따른 문제발생 우려

Ⅳ. 결 론

      ① 초고층 건축물은 높이에 따른 공사기간 증대로 장기간 공사에 따른 시공적 대책을 세워야 하며, 특히 환경적 요소에 따른 민원관리에 철저히 해야한다. 

      ② 민원발생의 최소화, 시공요소관리를 통한 공기단축, 운영방식 선정을 통한 공사비 절감하여 초고층 건축물을 경제적으로 시공해야 한다. 


Ⅰ. 건축시공기술사 서술 서브노트 #3 : 커튼월 부재 접합부 누수원인 방지대책 일반사항

    1) 개 요

      ① 커튼월은 공장생산 부재로 구성되는 비내력벽이며, 외벽에 fastner를 이용하여 부착시킨 것으로 주로 초고층 건물에서 주료 사용된다.

      ② 하지만 구체와 커튼월의 접합부가 정밀하게 시공되지 않으면 누수가 발생하기에 구체-바의 접합, 바와 유리와의 접합에 유의하여 시공해야 한다.  

    2) C/W 주요 누수 발생부위

       - 구체와 Bar의 접합부 : Anchor(Set Anchor), Embedded Plate

       - Bar-Glass의 접합부 : Sealant 처리

       - C/W - C/W의 접합부 : Stack Joint, Splice Joint

    3) 누수현상의 발생원리

       - 물, 틈새, 압력차이 -> 누수(하나라도 없으면 미발생)

Ⅱ. 접합부에 발생하는 누수원인

  1. 구체-Bar의 접합부

    1) 앵커시공 불량

       - Set Anchor, Embedded Plate, Cast-in Channel에서 시공시 허용오차 미준수 -> 간격 과다 -> 누수발생

    2) 접합부 충전불량, 시공불량

       - Set Anchor 시공시, Drilling 시공불량

       - Embedded Plate 하단 콘크리트 충전 불량

  2. Bar-Glass의 접합부

    1) Sealant의 시공불량

       - 공장제작, 자재 이동간 손상

       - 부적절한 모양으로 시공

    2) Bar의 변위 추종성 제한

       - 사전시험 불량 -> 변위계산 오류 -> Bar 팽창, 수축 -> 유리-Bar사이 균열

  3. C/W-C/W 의 접합부

    1) Joint 시공불량에 의한 누수

    2) 시공불량에 따른 변위 물량

Ⅲ. C/W 누수 방지대책

  1. 설계시 검토사항

    1) 시공 전 Shot Dwg 검토

       - 전체 입면도 부분입면도 단면상세도

       - Typicla Zone, Edge zone 구분

         -> 전문 커튼월 업체의 자문 필요 

    2) 커튼월 사전시험의 실시와 적절한 피드백

       - 풍동시험, 목업테스트, 현장시험을 통해 내풍압성, 수밀성, 기밀성, 차음성, 단열성, 층간변위추종성, 안정성, 내구성 검토

       - 피드백을 통한 설계/시공 반영

  2. 시공시 검토사항

    1) 자재반입간 커튼월 손상 방지

       - 자재 파레트 이용 반입 

       - 차량별 적재 가능수량 확인

          * 5톤 : 8개, 10톤 : 16개

    2) 커튼월 기준 먹 시공 철저

       - 수직/수평 피아노선, 면외방향 기준먹, 면내방향 기준먹

    3) 조인트 시공품질 확보

       - Closed Joint : 1차 seal, 2차 seal 시공철저, Weep Hole의 시공 철저

       - Open Joint : 오픈조인트 내부턱 높이(60mm) 준수


Ⅰ. 건축시공기술사 서술 서브노트 #4 : 커튼월 공사 부위별 결로발생 원인과 대책 일반사항

    1) 개 요

      ① 커튼월 공사는 고층건물의 실내, 실외를 수려한 외관으로 시공하는 자재로서, 결로, 하자의 문제로 인해 단열성, 수밀성, 기밀성 등의 성능이 요구된다.

      ② 하자를 방지하기 위해 특히 재료선정 및 시공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각 부위 유의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2) 커튼월 공사시 주요 결로 발생 부위

커튼월공사 주요 결로 발생부위

    3) 결로발생 메커니즘

       - 상대습도 곡선을 통해 결로 발생 원인 제시

Ⅱ. 부위별 결로발생 원인

  1. 알류미늄 Bar

    1) 열 전도율이 높은 알류미늄 bar

       - 열전도율이 높음 -> 차가운 표면 -> 결로

    2) 알류미늄 bar 시공불량에 따른 결로

       - 수직 수평부재 연결 불량 -> 온도차이 증가 -> 결로

    3) Joint 오차에 의한 결로

       - Stack Joint 벌어짐 -> 틈새로 냉기 흐름 -> 결로

  2. 유리

    1) 단열성능이 불량한 유리 사용

       - 단열성능 부족 -> 온도차 발생 -> 결로

    2) 유리의 시공상태 불량

       - C/W 제작, 자재이동 간 훼손

       - 유리-C/W 연결부위 마감 불량

  3. 패널

    1) 바탕철물의 열교, 차습층 미확보

    2) 패널 내 단열상태 불량

       - 제작, 운반에 의한 단열상태 불량

Ⅲ. 결로발생 대책

  1. 설계시 대책

    1) 사전시험을 통한 예상되는 문제점 확인

       - 풍동시험, Mock-up Test, Field Test -> 내풍압성, 수밀성, 기밀성, 차음성, 단열성 검토 -> 피드백 -> 설계 반영

    2) 내 외부 환기설비 계획

       - 풍동시험, 목업테스트 -> 필요환기량 -> 자연환기와 인공환기 구분하여 설계

  2. 재료, 시공적 대책

    1) 유리의 단열성능 확보

       - 복층유리 Low-E유리 이용 단열성능 확보

    2) 단열바 적용하여 단열성능 향상

       - 단열바 종류보다 취약부분에 대한 보강이 중요

    3) Dam 부위 차습층 시공

       - 차습층 설치를 통한 결로 감소

    4) Wheep Hole, 단열간봉 사용

       - 단열간봉 : 열교, 냉교차단, 유리분리 방지

       - Wheep hole : 내부 결로수 유도 및 배출

    5) Stack Joint의 적절한 시공

       - 온도에 의한 수축팽창에 대응

       - 20mm 오차 정도의 변위 수용 가능

    6) Seal 재의 사용

       - Seal재 밀실사용하여 결로방지

  3. 결로수 처리대책

       - 알류미늄 바에 물받이 설치

       - 온수방열기 설치

       - 환기 유닛 설치

Ⅳ. 결론

       - 커튼월은 재료선정, 시공성능에 따라 결로 및 하자의 발생열을 통제할 수 있다.

       - 양호한 재료와 시공능력의 확보, 환경적 요인 통제를 통해 커튼월의 결로를 방지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