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술]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서 부위별 피복두께 기준 및 피복두께 유지가 안될경우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

반응형

Ⅰ. 일반사항

      ① 철근의 피복두께는 외부 스트럽 띠철근에서 콘크리트 표면까지의 거리로 기후나 기타 외부 요인에서부터 철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② 피복두께가 과다하면 구조물의 강도와 처짐에 불리하며, 과소할 경우 철근의 노출 우려가 있기에 적정피복두께를 유지하기 위한 시공관리가 필요하다

Ⅱ. 철근 최소 피복두께 기준

etc-image-0

* 영구히 흙에 묻히는 경우 80mm, 수중 100mm

* 설계기준강도가 40Mpa 이상 : 10mm 절감

Ⅲ. 피복두께가 유지 안될경우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

   1.  피복두게 과다

파복두께 과다

       1)  유효깊이의 감소로 강도저하

           - 전단강도(공식) : 유효길이 적으면 전단강도 저하

           - 휨강도(0.9fckabc(d-a/2) : 유효깊이 적으면 휨강더 저하

           - 처짐량 증가

       2) 유효깊이 부족으로 내구성 저하

유효깊이 부족 내구성 저하

   2. 피복두께 과소

피복두께 과소

       1) 콘크리트 포면 결함 발생 

           - 철근~콘크리트 면의 유동성 저하 -> 곰보, 크랙 발생

       2) 철근의 부착력 저하 -> 부착파괴 발생

           - 철근의 부착력 저하 -> 강도저하

 

 

 

 

 

       3) 콘크리트 결함에 따른 철근 부식에 취약  

콘크리트 결함에 따른 철근부식

    -> 철근 부식 및 강도저하 -> 건물의 구조적 문제 초래

Ⅳ. 콘크리트 피복두께 확보방법

       1) 허용오차의 준수

구  분 유효길이 콘크리트 최속피복두께
d : 200 이하 ±10mm -10mm
ㅇ :" 200 chrhk ±13mm -13mm

           - 최소 피복두께는 -오차만 허용

       2) 철근고정 및 스페이서 사용 철저

etc-image-5

     

       - 벽체철근 + 슬래브철근 + 폭고정근

 

 

 

 

스페이서 사용

 

 

 

 

 3) 거푸집 고정 철저

etc-image-6

- 거푸집 배부름 현상 

  -> 피복두께 미확보(과다, 과소)

  -> 거푸집 설계, 양생조건 확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