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Ⅰ. 일반사항
① 철근의 피복두께는 외부 스트럽 띠철근에서 콘크리트 표면까지의 거리로 기후나 기타 외부 요인에서부터 철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② 피복두께가 과다하면 구조물의 강도와 처짐에 불리하며, 과소할 경우 철근의 노출 우려가 있기에 적정피복두께를 유지하기 위한 시공관리가 필요하다
Ⅱ. 철근 최소 피복두께 기준

* 영구히 흙에 묻히는 경우 80mm, 수중 100mm
* 설계기준강도가 40Mpa 이상 : 10mm 절감
Ⅲ. 피복두께가 유지 안될경우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
1. 피복두게 과다

1) 유효깊이의 감소로 강도저하
- 전단강도(공식) : 유효길이 적으면 전단강도 저하
- 휨강도(0.9fckabc(d-a/2) : 유효깊이 적으면 휨강더 저하
- 처짐량 증가
2) 유효깊이 부족으로 내구성 저하

2. 피복두께 과소

1) 콘크리트 포면 결함 발생
- 철근~콘크리트 면의 유동성 저하 -> 곰보, 크랙 발생
2) 철근의 부착력 저하 -> 부착파괴 발생
- 철근의 부착력 저하 -> 강도저하
3) 콘크리트 결함에 따른 철근 부식에 취약

-> 철근 부식 및 강도저하 -> 건물의 구조적 문제 초래
Ⅳ. 콘크리트 피복두께 확보방법
1) 허용오차의 준수
구 분 | 유효길이 | 콘크리트 최속피복두께 |
d : 200 이하 | ±10mm | -10mm |
ㅇ :" 200 chrhk | ±13mm | -13mm |
- 최소 피복두께는 -오차만 허용
2) 철근고정 및 스페이서 사용 철저

- 벽체철근 + 슬래브철근 + 폭고정근
스페이서 사용
3) 거푸집 고정 철저

- 거푸집 배부름 현상
-> 피복두께 미확보(과다, 과소)
-> 거푸집 설계, 양생조건 확보
반응형
'건축시공기술사 서술 서브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술] 현장 콘크리트 타설 후 경화되기 전에 발생하는 초기 균열 및 방지대책에 대해 설명하시오. (1) | 2023.10.02 |
---|---|
[서술] 콘크리트 표면결함 종류, 원인, 대책 (0) | 2023.09.26 |
[서술 ] 초고층 건물의 콘크리트 공사에서 타설 전 관리사항과 압송장비 선정방안 및 막힘현상의 원인과 대책을 설명하시오 (0) | 2023.09.22 |
[서술]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서 철근 선조립 공법의 특성과 시공시 유의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0) | 2023.09.22 |
[서술] 거푸집 공사 시공계획 수립시 고려사항과 동바리 바꾸어 세우기의 시기와 유의사항을 설명하시오 / 거푸집 붕괴의 원인과 대책 (0) | 2023.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