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Ⅰ. 건축시공기술사 서술 서브노트 #1 : 고강도 콘크리트 폭렬현상 일반사항 1) 개 요 ① 콘크리트의 폭렬현상이란 화재시에 콘크리트내부 고열로 인해 온도가 상승하지만 수증기가 방출되지 못해 폭발적으로 콘크리트가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다. ② 콘크리트의 배합, 타설, 내화피복 등의 방법으로 폭렬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 대책을 고려한 시공을 해야한다. 2) 폭렬현상 발생 메커니즘 - 화재발생 -> 콘크리트 내부수증기 미배출 -> 수증기압 상승 -> 수증기압이 콘크리트 인장강도보다 높은 -> 폭렬현상 Ⅱ. 공강도 콘크리트의 폭렬현상의 특징 1) 폭렬현상의 분류 ① 점진적 폭렬 : 수증기압 이론(콘크리트 자유수, 결합수 증발), 골재변형이론(서로다른 열팽창율 골재), 열응력이론(비선형적 온도분포) ② 폭발..
Ⅰ. 건축시공기술사 서술 서브노트 #1 : 한중 콘크리트 일반사항 1) 개 요 ① 한중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타설 전, 중, 후 동안 동결 우려가 있는 경우 타설하는 콘크리트이다. ② 한중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 상에는 1일 평균기온이 4도 이하로 예상될 때 적용하거나, ACI306기준에서 1일 평균기온 5도 이하, 24시간 중 50%가 10도 이하가 3일 이상 적용될 경우에 적용한다. 2) 동계 온도별 콘크리트 타설 관리 - 4도 이상 : 통상적인 타설 - 0~4도 : 간단한 주의 및 보온 - 영하 3도 ~ 0도 : 견실한 보온 및 재료가열 - 영하 3도 이하 : 가열, 양생 등 본격으로 한중 콘크리트 타설 3) 한중 콘크리트의 중점 관리항목(서식으로 작성) - 초기 동해방지 - 양생관리 - 초..
Ⅰ.건축시공기술사 서술 서브노트 #1 : 일반사항 1) 개 요 ① 콘크리트가 타설 후 표면에서 공기 중의 탄산가스를 흡수하여 알칼리성을 맇게 되는 현상을 중성화(탄산화)현상이라고 한다. ② 중성화 현상으로 인해 철근을 감싸고 있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면서 철근의 부식이 시작된다. 2) 중성화 발생 Mechanism 3) 중성화 진행속도 영향인자 Ⅱ. 중성화 현상이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 1) 균열부분으로 물과 공기의 유입, 철근부식 가속화 2) 구조물 노후화에 따른 유지비용 증대 3) 누수, 결로 현상의 발생 - 균열발생으로 틈 사이로 물 침투하여 누수, 결로 발생 Ⅲ. 중성화 현상의 진행과정 Ⅳ. 중성화 현상의 측정방법 - 페놀프탈레인 1% 용액 분무 : 무색일 시 중성화, 적색일 시 정상 - 코아법 :..
Ⅰ. 건축시공기술사 서술 서브노트 #1 : 개 요 ① 건조수축은 콘크리트 수분이 장기간에 걸쳐 증발하면서 발생하는 콘크리트의 수축현상이다. ② 건조수축은 단 한가지의 이유가 아닌 복합적인 이유로 발생하기 때문에 시멘트, 골재, 함수비 및 배합조건 등의 세밀한 관리가 필요하다. Ⅱ. 건조수축의 발생요인 Ⅲ. 건조수축 균열의 Mechanism Ⅳ. 건조수축을 유발하는 요인 1) 시멘트 - 일반적으로 시멘트는 분말도가 높으면 건조수축이 증가 - 시멘트 화학성분이 건조수축에 영향을 미친 2) 골재에 의한 영향 요 인 건조수축 골재의 압축성(탄성계수) 증가 감소 골재의 흡수율 증가 증가 불량한 입도의 골재 증가 모래 사용량 과다 증가 3) 함수비와 배합비의 영향 4) 상대습도의 영향 - 콘크리트 건조수축은 외기와..
Ⅰ. 개 요 ① 미경화 콘크리트는 설계, 시공, 양생의 과정에서 균열발생 원인에 따라 초기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균열은 미적요소 및 구조적 안전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②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초기 균열으 ㅣ종류를 확인하여 설계, 시공, 양생의 각 과정에서 균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해야 한다. Ⅱ. 미경화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초기균열의 종류 Ⅲ. 미경화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초기균열의 종류 1) 소성, 건조수축균열 - 소성수축균열 : 강한바람과 높은 온도에 의해 발생 / 증발속도 > Bleeding속도 시에 발생 - 건조수축균열 : 수분 증발로 콘크리트의 체적 감소로 발생 2) 침하균열 - Slab나 보의 상부철근 위에 타설 후 1~3시간 사이에 발생 - 철근 직경이 크고 피복두께가 적을수..
Ⅰ. 일반사항 ① 콘크리트 타설 후 응결과정에서 발생하는 표면 결함은 강도, 내구성 저하의 원인이 되기에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② 표면결함의 종류와 발생원인을 잘 파악하여 표면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관리해야 한다. Ⅱ. 콘크리트 표면결함의 종류 Ⅲ. 콘크리트 표면결함의 원인 1. 재료적 원인 1) 분말도가 낮은 시멘트 사용 2) 이물질, 유기물 다량 함유 재료 사용 : 오염된 굵은 골재 사용 -> 변색 발생 3) 물,시멘트비 불량 4) 입도가 불량한 골재 : 층박리 발생 2. 시공적 원인 1) 피복두께, 철근배근 불량 2) 타설높이 미준수 3. 양생적 원인(타설 후) 1) 진동다짐의 불량 - 진동다짐의 방향, 부적절 장비 -> 기포 발생 2) 보온, 보양 불량 - 동계 한중 콘크리트 타설시 보양 미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