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건축시공기술사 용어 서브노트 # 1 : 결로방지성능평가 정의
① 결로방지성능 평가란 공동주택 내의 결로저감을 유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만들기 위해 결로방지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을 평가하는 것이다.
② 5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에서 실시하며, 평가기관에서 평가 후 신청인이 지자체에 결과서를 제출한다.
Ⅱ. 결로방지 성능평가 기준 및 방법
① 출입문 : 현관문과 방화문 / 물리적, 시뮬레이션
② 벽체접합부 : 외기에 접하는 벽체, 슬라브 접합부 / 상세도, 시뮬레이션
③ 창호 : 난방이 설치된 공간의 외기와 접하는 지점 / 물리적, 시뮬레이션
* 상세도 가이드라인 : 공동주택 결로방지 상세도 가이드라인
Ⅲ. 주요부위 결로방지 성능평가 방법
① 출입문 : TDR 0.3 ~0.38
② 벽체 접합부 : TDR 0.23 ~0.28
③ 창 : TDR 0.16 ~ 0.32
<끝>
Ⅰ. 건축시공기술사 용어 서브노트 # 2 :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정의
①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Barrier Free)란 어린이, 장애인, 임산부, 노약자 등이 시설물에 접근, 이용, 이동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평가, 인증하는 제도이다.
② 인증등급은 최우수/우수/일반 등급으로 나뉘며 인증 유효기간은 본인증 5년, 예비인증 1년이다.
Ⅱ. 인증대상
① 개별시설 : 법류상 대상시설 및 교통수단, 여객시설, 도로
② 지역 : 교통약자 편의를 위하여 교통수단, 여객시설, 도로를 계획 또는 재정비한 시군구 지역
Ⅲ. 인증의 종류 및 신청시기
① 예비인증 : 개별시설 또는 지역의 설계에 반영된 내용을 대상으로 본인증 신청 전
② 본인증 : 공사, 운행허가 완료 후
Ⅳ. 인증등급
① 최우수 : 인증기준 90점 이상
② 우수 : 인증기준 80점 이상
③ 일반 : 인증기준 70점 이상
<끝>
Ⅰ. 건축시공기술사 용어 서브노트 # 3 : 범죄예방 건축기준 정의
① 범죄예방 건축기준은 범죄를 예방하고 안전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건축물, 건축설비 및 대지에 대한 범죄예방기준을 정한 것이다.
② 감시, 접근통제, 유지관리의 주요개념과 영역성 강화, 공동체강화의 부속개념으로 구분된다.
Ⅱ. 범죄예방 건축기준의 개념
① 감시 : 기계적 감시, 조직적 감시, 창문, 디자인
② 접근통제 : 기계적 통제, 조직적통제, 출입구, 대지경계
③ 유지관리 : 유지관리 용이성
④ 영역성 강화 : 공간의 책임의식과 준법의식을 강화
⑤ 공동체 강화 : 근린교류, 비공식적 사회통제
Ⅲ. 범죄예방건축기준의 평가기준
① 공통기준 : 접근통제, 영역성 확보, 조경, 조명 등 / 14항목
② 아파트 : 단지출입구, 담장, 경비실 주차장 등 22가지 항목
③ 단독연립 : 출입문, 출입구, 수직배관, 조명 등 10가지 항목
④ 문화, 집회시설 : 출입구, 주차장, 조명 등 8가지 항목
Ⅳ. 적용대상
① 500세대 이상 다가구 연립, 다세대 아파트
② 1,2종 근린생활, 문화 및 집회시설 : 교육업무, 숙박시설 등
Ⅴ. 인증시점
① 디자인 인증(설게단계, 사용검사 전까지) -> 시설인증(준공 후 인증)
<끝>
Ⅰ. 건축시공기술사 용어 서브노트 # 4 : 이중외피시스템 정의
① 이중외피시스템은 동, 하절기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건물 기존 외피에 추가적으로 외피를 설치하는 시스템이다.
② 자연적인 대류현상 또는 인공대류를 일으켜 중공층의 열차단 효과를 높이고, 환기 및 차양장치로 활용한다.
Ⅱ. 이중외피 시스템의 메카니즘
① 하절기 : 외부에서 들어오는 열취득량 감소
② 동절기 : 내부에서 나가는 열 손실량 감소
Ⅲ. 이중외피 시스템의 특징
① 자연환기, 우수 : 외부오염, 차단효과
② 에너지 절감 : 유지관리비 절감, 열취득, 손실 감소
③ 건물입면 보호 : 외부로부터 보호, 재료보호
Ⅳ. 적용시 유의사항
① 설계단계에서 Simulation 적용 검토
② 비교적 고가이나 친환경인증건축 인증항목임
<끝>
Ⅰ. 건축시공기술사 용어 서브노트 # 5 : BIPV 시스템(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① BIPV 시스템이란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을 이용하여 건물 전력수요를 충당하여 건물의 전기료를 저감시키는 시스템을 말한다.
② 건물의 전력수요를 저감시키고 추가 태양열 시스템 설치에 드는 비용을 이중으로 절약이 가능하다.
Ⅱ. BIPV 시스템의 구조
Ⅲ. 태양광 발전의 특징
① 장점 : 태양광 수명이 반영구, 다양한 규모의 발전, 설비, 배기가스 유해물질 없음
② 단점 : 큰 전력을 얻기 위한 큰 면적 필요, 기상조건에 따라 출력 상이, 인접환경의 영향 과다
Ⅳ. 초고층 건물에서의 BIPV 활용 방안
① 건물 외피 커튼월에 적용 가능
② 충분한 설치면적 확보 가능
③ 건물자체의 채광문제 해결
<끝>
Ⅰ. 건축시공기술사 용어 서브노트 #6 : 복합재료 보강법 정의
① 복합재료 보강법이란 구조물의 강도적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른 부재를 덧대어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도록 하는 공법이다.
② 내마모성, 내부식성, 내충격성이 크며, 가격이 고가이고 내화성이 부족하여 화재예방에 주의해야 한다.
Ⅱ. 복합재료의 구성요소
① 보강재 :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 섬유
② 결합재 :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③ 층상복합재료 : 탄소섬유시트, 유리섬유시트, 섬유강화 복합재료
* 보강재와 결합재의 결합으로 복합재료 형성
Ⅲ. 복합재료별 특성
① 탄소섬유 : 강성, 내구성 우수 / 가격 고가
② 유리섬유 : 인장, 절연성, 단열성 우수
③ 아라미드 섬유 : 내충격성 우수, 로프재 사용
Ⅳ. 복합재료 보강공법 적용방법
① 바탕처리 -> 단면복구 -> Primer -> Sheet부착 -> 마감
Ⅴ. 복합재료 보강공법 특징
① 장점 : 내부식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단열성, 시공성 우수
② 단점 : 가격이 고가, 내화성 부족, 내구성에 대한 검증 없음
<끝>
Ⅰ. 건축시공기술사 용어 서브노트 #7 : 주계약자형 공동도급 정의
① 주계약자형 공동도급은 공사수행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건설업계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하여 공사비율이 가장 큰 업체가 주계약자가 되어 전 과정을 책임지는 방식이다.
② 주계약자는 공사 전체 계약이행 책임에 연대책임을 지며, 다른 업체의 시공금액 50%를 추가로 인정받는다.
Ⅱ. 주계약자형 공동도급의 개념
① A사 (60%)
② B사(30%)
③ C사(10%)
④ A사는 주계약자가 되어 B, C사의 50%인 20% 인정
Ⅲ. 주계약자형 공동도급의 특징
① 공사 전체 계약이행에 연대책임을 짐
② 주계약자는 전체 공사의 계획, 관리, 조정의 업무 담당
③ 하자부분에 대한 명확한 책임한계 필요
Ⅳ. 공사실시 방식에 따른 계약방식의 비교
① 일식도급 : 공사업체 1개 / 계약용이, 공사비 증가
② 분할도급 : 공사업체 2개 이상 / 공종별, 공정별 계약 / 양질시공, 사무 복잡
③ 공동도급 : 공사업체 2개 이상 / 공사금액, 비율별 계약 / 기술개발, 표준화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