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가설공사 시공계획
- 타 공사와의 관계 검토 : 외장공사, 토공사, 철근콘크리트공사, 철골공사, 지정공사, PC공사, 내/외 마감공사와 각각 관계를 검토해야 한다.
- 준비공사 : 장애물철거, 부지정리, 가솔도로 등 검토
- 가설펜스 : 가설펜스의 위치와 도로점용의 필요성, 출입구 위치, 방음, 방진 간판 등 검토
- 가설건축물 : 현장사무실, 협력업체 사무실, 시험실, 숙소, 식당, 창고, 화장실, 경비실 등의 규모나 배치 계획 검토
- 작업공간 : 펌프카의 배치나 레미콘 차량의 진출입과 자재야적장 등에 대해서 검토해야한다.
- 가설(전기/급배수) : 전기, 급수, 배수의 위치와 계획, 가능여부를 검토해야 한다.
- 측량 : 토지측량, 규준틀 설치, 벤치마크 등 위치에 대해서 검토해야 한다.
- 비계 및 양중설비 : 전체 동선이나 양중량, 무게, 층수 외장 등에 기초하여 계획해야 한다.
- 가설물 해체 : 공기 및 공정을 고려하여 적기에 가설물을 해체해야 한다. 이전 또는 본 공사 시설전용 등을 계획해야 한다.
1. 가설공사 : 대지측량과 벤치마킹
1) 경계측량
- 대상 : 모든 현장
- 시기 : 공사착수 전, 외부 부대시설착수 전
- 방법 : 구청에 경계측량을 신청한다. 수수료를 납부하고 관할 출장소에서 출장 확인을 한다.
- 경계표, 경계말뚝 기준으로 인접대지경계, 도로굥계를 실측하고 설계도서와 대조한다.
2) 건축물 평면 위치의 결정
- 줄쳐보기 -> 기준선의 정확한 먹줄치기 -> 기준점의 설정 -> 건축물의 높이 결정
2. 가설공사 : 기준먹매김
1) 수직, 수평의 기준
- 건축물은 똑바로 세운다는 것의 시작점은 기준먹매김이다.
- 기준먹매김은 건축물 주위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행한다.
- 버림 콘크리트면 및 기초 콘크리트면의 먹매김은 중요하므로 직접 확인해야 하며 동일한 사람이 실시해야 한다.
2) 기준 먹매김 주의사항
- 줄자는 KS합격품 사용하며 현장 내 사용 줄자의 오차범위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 측량기는 주의깊게 취급하고 검교정을 실시하여 오차를 줄인다.
- 기준먹은 담당기사가 꼭 확인한다.
- 골조공사 진행중에는 외부에서 Transit이용하여 상하층간의 기준먹을 확인한다.
- 화장실 등 방수구간에서 설치하면 안된다.
3) 고층건축물의 기준먹매김
- 각 층마다 기준먹 이동으로 오차가 누적될 수 있으므로 외부 건축물에 기준참고점을 설치하여 확인한다.
- 고층건축물의 오차 누적은 구조 안정성에 영향을 주기에 굉장히 중요하다.
4) 기준먹의 이동
- 하부층의 기준먹을 상부층으로 이동시키는 작업
- 콘크리트 타설 시 먹매김용 슬리브를 설치한다.
- 각 층마다 같은 위치에 슬리브를 설치해야 한다.
3. 가설공사 : 마감먹매김
- 기준먹으로부터 예비먹으로 검사가 가능하도록 해야하며 바닥먹은 확인가능하도록 벽체에 연장한다.
- 레벨먹매김은 1층의 측정하기 좋은 위치의 기둥 등의 벤치마크로부터 바닥먹매김을 이설하여 새로운 벤치마크로 한다.
4. 가설공사 : 가설전기용량
1) 가설전기용량 산출
- 타워크레인 : 변압기 용량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종 및 수량에 따른 부하를 산정해야 한다.
- 스터드볼트 용접기 : 종류별 용량과 대수 확인
- 이산화탄소 용접기 : 일반적으로 30kW 3대를 사용한다.
- 리프트 : 15kW ~ 25kW 적용하고 용량과 대수를 확인해야 한다.
- 바이브레이터 : 3kW 1대 사용하고 층면적이 넓으면 2대를 사용한다.
- 세륜시설 : 15kW
- 가설사무실 : 일반적으로 가설사무실 전기용량은 5kW(3x6 기준)
- 가설식당 : 30kW
- 기타설비 : 과부하로 인한 전기단전을 예방하고자 규모에 따라 50~100kW 까지 적용할 수 있다.
5. 가설공사 : 세륜시설 설치
1) 설치기준
-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58조 4항 관련 별표 14에 의한 세륜시설 설치기준 준수
- 종합적인 가설계획에 의해 세륜시설 위치 및 설치대수를 산정
2) 자동식 세륜시설
- 자동식 세륜기의 종류 : 앞바퀴와 뒷바퀴를 별도로 세륜하므로 일정시간 소요. 대당 세륜능력을 고려하여 대수산정이 필요하다.
- 자동식 세륜기는 사토처리량 1,800m3 당 1대의 자동식 세륜기를 사용한다.
3) 수조를 이용한 세륜시설
- 수조의 규격 : 수송차량의 1.2배 이상으로 20cm 이상 설치한다
- 측면 살수시설은 반드시 설치해야 하며, 높이는 적재함 하단부까지, 길이는 전장의 1.5배 이상. 살수압은 3MPa 이사이어야 한다.
6. 가설공사 : 가설울타리
1) 설치기준
- 미관을 고려하되 풍하중에 대한 충분한 강성을 발휘하도록 견고하게 설치한다.
- 공사장 방음시설은 전후의 소음도 차이가 최소 7dB 이상이 되어야 하며 높이는 3m 이상이 되어야 한다.
- 건축물건설공사장, 조경공사장 등 높이 1.8m 이상의 방진벽을 설치해야 한다. 주변에 주거, 상가건물이 있는 경우에는 3m이상의 방진벽릉 설치한다.
2) 가설울타리의 종류
- EGI 펜스, RPP, Steel 방음 펜스, 칼라평판펜스
3) 가설울타리 지주형식의 종류
- 비계식, 오거식, 플레이트식
4) 가설울타리 하단 막음사례
- 모르타르 / 철판/ 콘크리트 /조적
7. 가설공사 : 가설게이트
1) 게이트의 위치선정
- 대지 내 진입이 용이하고 자재 야적이 유리한 위치
-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전주, 가로등, 가로수, 전화박스 등이 출입에 지장을 주지 않는 곳
- 인접도로의 차량흐름에 영향을 적게 주는 곳
2) 게이트의 종류
- 폴딩 / 스윙/ 슬라이딩 / 셔터
3) 게이트의 규격
- 유효폭 : 차량의 회전범위를 고려하여 결정하며 최소 4.5m 이상이 되어야 한다.
- 유효높이 : 출입문 위에 횡부재, 호차, 레일이 있는 경우 통행차량의 적재높이를 고려하여 화물차량 중 가장 높은 차량이 통과하도록 해야하며 일반적으로 4m이상이어야 한다.
4) 안전조치
- 경비원을 배치하여 차량 유도 / 차량의 출입을 알리는 부저와 경고등을 설치해야 한다
- 효율적인 인원 출력관리를 위한 별도 출입문 또는 보안 게이트를 설치해야 한다.
- 출입시 세차시설을 이용하도록 하고 게이트 주위에 물청소를 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 개폐 사용에 따른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을 확보해야 한다.
Ⅰ. 가설공사 : 복공구조물
1. 개 요
- 복공판은 공사기간 중 작업하중을 고려한 설계하중에 견뎌야 한다.
- 강재복공판의 규격 : 길이 2.0m, 폭 0.75~1.0m, 높이 0.2m(외워야함)
2. 복공구조물의 구성
- 복공판, 차진입대, 수평연결재, 수직 브레이스, 포스트파일, 장선, 보(그림 그릴 줄 알아야함)
3. 복공구조물 설계기준
- 허용활하중일반적인 복공판 설계의 허용활하중 20kN/m2
- 장비의 경우 복공판 상부 중장비 진입이 구조계산상으로는 가능하더라도 정밀하게 시공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500kN 이상의 이동식 크레인은 복공판 진입 금지
4. 복공구조물의 관리사항
1) 설계 시 관리사항
- 복공구조물과 흙막이 설계가 간섭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간섭여부 확인 필요
- 복공구조물 설치구간의 포스트 파일은 300, 300시리즈 적용해야함
- 복공구조물 전체의 수평력, 횡변위, 진동 등에 대한 안전성 검토 필요
2) 시공 시 관리사항
- 진입 구배 유지
- 복공구조물의 부재 간 접합 정도를 검측해야 함
- 작업하중에 대한 좌굴에 대한 수평보강재 및 활하중 고려하여 브레이싱
3) 사용 시 관리사항
- 활하중 이상의 차량진입, 자재적재 금지
- 처짐이나 변위가 발생하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해야함.
Ⅱ. 가설공사 : 양중기계
1. 타워크레인
1) 타워크레인용 양중자재
- 대형 양중에 이용 - 길이 4m 이상, 폭 2m이상, 중량 2톤 이상
- 철골, 철근, 데크플레이트, 알류미늌 커튼월, 가설자재, 설비기계류, 엘리베이터 등
2) 타워크레인의 구분
- 수평이동 여부에 따라 : 고정형 / 이동형
- 수직이동 방식에 따라 : mast climbing / floor climbing
- JIB 작동방식에 따라 : Luffing / T-Tower
3) 타워크레인 기종 선택
- 용량 : 인양자재나 장비의 최대중량 확인, 최대 회전 반지름 고려, 위치별 인양용량, 최단부 인양중량 감안
- Jib 작동방식에 따라 : 장애물로 회전 제한, 대지 경계선 넘어갈 경우 Luffing crane, 회전이 자유로우면 T-Tower 크레인
- 건축물 높이에 따라 : 자주식의 경우 Mast Climbing 방식, 초고층인 경우 Floor Climbing 방식
4) 대수 산정
- 초고층의 경우 : 2대가 일반적, 양중부하에 따라 추가할 수 있다. 코어와 슬라브로 공정을 구분, 철골조인 경우 철골공정진행 기준으로 산정, RC조인 경우 공정 진행속도 고려한 부하를 산정
- 고층인 경우 : 보통 1~2대로 양중부하에 따라 추가, 보통 15~30층의 일반적인 경우
- 복합 건축물 : 타워크레인 회전반지름이 작업 구역을 모두 커버하는지 고려, 사각지대는 Mobile 크레인으로 해결,
- 저층 건축물 : 10층 이하, 소형 혹은 모바일 크레인 사용
5) 타워크레인 설치
- 반입 전 검사 : 육안검사와 비파괴 검사 실시
- 타워크레인 설치 : 설치요 ㅇ크레인 및 Mast, Jib 자재의 야적 조립공간 확보, 설치는 가능한 빠르게 하고 간섭을 배제한다
- 설치 후 안전인증 및 검사 : 최초 설치한 날부터 6개월마다 진행
- 안전대책 : 타워크레인 전원은 단독선으로 충분한 용량을 배정한다. 낙뢰에 대비하여 피뢰침 설치 및 접지를 확인, 풍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광고판 등의 부착물 설치를 금한다. 사용 전 관계기관의 승인 및 안전검사
6) 타워크레인 기초 및 보강
- 타워크레인 기초 : 구조계산서에 의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설치업체 전문가의 자문 필요
- 타워크레인 기초방식 분랴 : 강말뚝 방식, 영구구조체 이용방식, 독립기초 방식 / 그림 그려야 하고 각각 특징과 적용지역 알아야함
- 기타보강 : 보강간격 및 방법은 장비 미뉴얼을 기준, 구조계산으로 안정성 확인
7) 타워크레인의 해체 / 와이어 연걸
- 해체시기 : 골조공사 완료 후, 옥상, 조경시설 완료 후에 시행하고. 마감공정 지연을 초래하지 않는 적정한 시기를 고른다
- 해체방법 : 텔레스코핑 작업을 실시(마스트 타입) / 텔레스코핑 절차 그림 설명 해야함.
- 와이어로프의 점검 : 지름 감소가 공칭지름 7% 이상인 것, 와이어 수가 10% 이상 절단된 것
- 와이어로프 인상각도 : 인상각도는 60도 이내를 유지하고 90도 초과시 불안전하다.
2. 가설공사 : LIFT
1) Lift 용 양중자재
- lift 크기, 용량, 속도 등에 따라 구분되나 주로 중형, 소형 자재
- 경량 형강, 목재, 석고보드, 파이프류, 욕조 등
2) Lift의 구분
- 사용 목적에 따라 : 인력 / 화물 / 인화물 겸용
- 속도에 따라 : 고속 / 중속 / 저속
- Cage 수량에 따라 : Single / Double
- 특수화물의 양중에 따라 : 롱스판 / 콘크리트
3) 가설용 Lift 설치
- 조립순서 및 설치 : 기초 -> 기본장치 -> 마스트 조립 -> 벽 지지대 -> 케이블 가이드
- LIFT 기초 : 지반 위 설치 / 지반과 일치 / 지반보다 낮게(낮게 설치시 배수구 설치)
- 마스트 조립 : 마스트 이음용 볼트, 너트는 고장력강 사용,
4) 가설용 Lift 대수산정
- 1일 화물용 lift 양중시간, 1일 인/화물용 화물 양중 가능시간, 양중소요시간 고려하여 산정
3. 가설공사 : 기타 인양장비
1) Working Platform / 그림 그리고 특징 알아야함
- Lift Mast에 수평작업대를 설치하여 외장공사 수행용 가설작업발판의 일종
- 높이 200미터 이내까지 사용가능
- 설치 시 주의사항 : 기초부 허용지내력 6톤/m2, 기초부 ground Support 설치하여 기초부에 받는 힘을 고르게 분포
- 운행시 주의사항 : 정격하중 준수, 오버로드 부자가 올리면 적재량 줄여야함
2) 곤돌라
- 활하중 및 지지대 설치방법 등을 현장여건에 맞게 면밀히 검토
- 곤돌라 종류 : 전동식 곤돌라, 수동식 곤돌라)
- 설치 전 검토사항 : 설치용도 고려하여 종류 및 설치위치 선정, 곤돌라 기종에 따라 허용되는 활하중 숙지하고 허용 활하중 초과 금지
3) 곤돌라 토탈시스템
- 건축물 상단과 건축물 하단부 브래킷 설치하여 와이어 로프를 연결한 다음 수직안전그물망 설치한 그물망 내부에서 곤돌라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만든 공법
- 곤돌라공법 특징 : 별도 낙하물방지망 불필요. 안전망은 와이어로프 및 상부 기계장치로 개폐가 가능한 형태. 태풍 및 강풍시 안전그물망 일부 해체가능